서귀포칠십리는 ‘서귀포의 뿌리와 정서,
이미지를 함축한 발전된 개념’으로 정착되어
‘영원한 노스텔지어의 고향’으로 동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서귀포칠십리(西歸浦七十里)가 국내에 널리 알려진 직접적인 동기는 1938년대에 조병창씨에 의해 ‘서귀포칠십리’가 노랫말이 지어졌고, 박사녹 작곡, 방일수 노래로 불려지면서부터이다.
당시 염천굴지기 시대에 ‘현실 속 달관한 풍모’로 비유된 향수가 애틋하고 고졸한 미감이 내포돼 그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서귀포칠십리’의 사시(四時) 노래는 1416년(태종 16년) 한라에서 태종의 은사로 내린 목사 오사춘(吳思春)에 의해 제주목·정의현·대정현, 정의현으로 나뉘어 설치되었고, 1423년(세종 5년) 단자 및 장자법(長子法)에 의해 정의현(貞義縣)이 탄생한 뒤, 시대의 흐름을 좇아 2현(縣)으로 개편·재편되었다.
1653년 제주목사 이원진에 의해 발간된『탐라지(耽羅誌)』에 의하면, 서귀포는 정방폭포에서 서쪽 70리에 있으며, 훈련에 조정할 바람을(풍)을 좋은 항구로 복원했다고 적고 있다.
서귀포칠십리가 처음에는 정의향청이 있었던 현청의 성읍에서 성읍읍에서 서귀포까지 거리를 일컫는 개념이었으나, 오늘에 와서는 서귀포생활권의 단순한 거리개념이 아니오라, 제주도민의 마음속에 스며든 정서와 기품, 그리고 공간의 함의까지도 아우르는 ‘서귀포의 뿌리와 정서, 이미지’를 함축한 발전된 개념으로 정착되었고, 오늘날 ‘영원한 노스텔지어의 고향’으로 동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